Skip to main content

Java 에서 Hello World 를 출력하기까지 2

· 14 min read
Haril Song
Owner, Software Engineer at 42dot

이전 글 에 이어서 "Hello World" 를 출력하기 위해 코드가 어떻게 변해가는지 살펴봅니다.

Chapter 2. Compile 과 Disassemble

프로그래밍 언어에는 레벨이 있다.

프로그래밍 언어가 인간의 언어와 가까울수록 고수준 언어(high-level language),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기계어)에 가까울수록 저수준 언어(low-level language)라고 한다. 고수준 언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인간이 이해하기 쉽기에 높은 생산성을 얻을 수 있지만, 그만큼 기계어와의 괴리가 심해지니 이 간극을 메우기 위한 과정이 필요하다.

고수준 언어가 저수준으로 내려오는 과정, 이걸 컴파일(compile) 이라고 부른다.

Java 또한 저수준 언어는 아니므로, 컴파일 과정이 존재한다. 자바에서는 이 컴파일 과정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살펴보자.

Compile

앞서 설명했던 것처럼 Java 코드를 컴퓨터가 바로 실행할 순 없다. Java 코드의 실행을 위해서는 작성된 코드를 컴퓨터가 읽고 해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해줘야하는데, 이를 위해 크게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된다.

컴파일의 결과물인 .class 파일은 바이트 코드로 되어 있다. 하지만 여전히 컴퓨터가 실행할 수 있는 기계어는 아닌데, JVM 이 이 바이트 코드를 읽어서 기계어로 변환하는 작업을 마저 처리해준다. JVM 이 어떻게 처리해주는지는 마지막 챕터에서 다룬다.

우선, .java 파일을 컴파일해서 .class 파일을 만들어보자. javac 명령어를 사용하면 컴파일할 수 있다.

// VerboseLanguage.java
public class VerboseLanguag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
}
javac VerboseLanguage.java

클래스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java 명령어를 사용해서 클래스 파일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여기까지가 자바로 작성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기본 흐름이다.

java VerboseLanguage
// Hello World

클래스 파일이 어떤 내용으로 이루어졌는지 궁금하지 않은가? 도대체 컴퓨터는 어떻게 생긴 언어를 읽고 실행하는지 신경쓰이지는 않는가? 이 파일에는 무슨 비밀이 들어있을까? 마치 판도라의 상자처럼 느껴진다.

기대를 안고 열어보면,

어림도 없지

바이너리(binary)라는 짤막한 내용만 표시된다.

아니 지금까지 컴파일의 결과물은 바이트 코드라며...?

그렇다, 바이트 코드다. 동시에 바이너리 코드이기도 하다. 이쯤에서 바이트 코드와 바이너리 코드의 차이점을 간략하게 짚어보고 넘어가자.

바이너리 코드 : 0과 1 로만 구성된 코드. 기계어는 바이너리 코드로 이루어져 있지만, 모든 바이너리 코드가 기계어인 것은 아니다.

바이트 코드 : 0과 1 로만 구성된 코드. 하지만 바이트 코드는 기계(machine)을 위한 것이 아닌 VM 을 위한 것이다. VM 에서 JIT compiler 등을 통해 기계어로 변환된다.

그래도 나름 이 글의 주제가 Deep-dive 를 표방하고 있는만큼 꾸역꾸역 변환하여 읽어봤다.

다행히 우리들의 판도라의 상자 안에는 0 과 1 이 들어있을 뿐, 별 다른 고난이나 역경은 들어있지 않다.

읽어내는데는 성공했지만, 0 과 1 만 가지고는 도저히 내용을 알기 어렵다 🤔

이제, 이 암호를 풀어보자.

Disassemble

컴파일 과정을 진행하면 0과 1로 구성된 바이트 코드로 변환된다. 위에서 살펴봤듯이 바이트 코드를 그대로 해석하기는 무척 어렵다. 다행히도 JDK 에는 개발자가 컴파일된 바이트 코드를 읽을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가 포함되어 있어서 디버깅 등의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바이트 코드를 개발자가 해석하기 편한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역어셈블(disassemble) 이라고 한다. 가끔 이 과정을 역컴파일(decompile)과 혼동할 수 있는데, 역컴파일은 변환 결과가 어셈블리어가 아니라 고수준 프로그래밍 언어라는 점에 차이가 있다. 또한 javap 문서에는 명확하게 disassemble 이라고 표현하고 있으므로 이를 따르도록 하겠다.

info

역컴파일의 경우는 말 그대로 바이너리를 컴파일 하기 전처럼, 상대적으로 고수준의 언어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반면, 역어셈블은 바이너리를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최소한의 형식(assembler language)으로 표현해주는 것을 말한다.

Virtual Machine Assembly Language

javap 를 사용해서 바이트코드를 변환(disassemble)해보자. 0, 1 보다는 훨씬 읽을만한 결과가 출력된다.

javap -c VerboseLanguage.class
Compiled from "VerboseLanguage.java"
public class VerboseLanguage {
public VerboseLanguage();
Code:
0: aload_0
1: invokespecial #1 // Method java/lang/Object."<init>":()V
4: return

public static void main(java.lang.String[]);
Code:
0: getstatic #7 // Field java/lang/System.out:Ljava/io/PrintStream;
3: ldc #13 // String Hello World
5: invokevirtual #15 // Method java/io/PrintStream.println:(Ljava/lang/String;)V
8: return
}

이걸 보고 무엇을 알 수 있을까?

먼저, 이 언어는 virtual machine assembly language 라고 불린다.

The Java Virtual Machine code is written in the informal “virtual machine assembly language” output by Oracle's javap utility, distributed with the JDK release. - JVM Spec

format 은 아래와 같다.

<index> <opcode> [ <operand1> [ <operand2>... ]] [<comment>]

index : JVM code 바이트 배열의 인덱스. 메서드 시작 오프셋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opcode : 명령어(instruction) 집합 opcode 의 연상 기호(mnemonic). 우리는 무지개의 색상 순서를 '빨주노초파남보'라는 단어로 기억한다. 무지개의 색상이 명령어 집합이라면, '빨주노초파남보' 각각의 음절은 이를 구별하기 위해 정의된 연상 기호라고 할 수 있다.

operandN : 명령어의 피연산자. 컴퓨터 명령어의 피연산자는 주소 필드이다. constant pool 에서 처리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장소를 가리킨다.

출력된 역어셈블의 결과에서 main 메서드 부분만 좀 더 살펴보자.

Code:
0: getstatic #7 // Field java/lang/System.out:Ljava/io/PrintStream;
3: ldc #13 // String Hello World
5: invokevirtual #15 // Method java/io/PrintStream.println:(Ljava/lang/String;)V
8: return
  • invokevirtual: 인스턴스 메서드 호출
  • getstatic: 클래스에서 static field 를 가져온다
  • ldc run-time constant pool 에 데이터를 적재한다.

3번째 줄의 3: ldc #13 은 13번 인덱스에 아이템을 넣으라는 의미이며, 넣는 아이템이 무엇인지는 주석으로 친절하게 표시되어 있다.

Hello World

참고로 getstatic, invokevirtual 같은 바이트 코드 명령어 opcode 들은 1바이트의 바이트 번호로 표현된다. getstatic=0xb2, invokevirtual = 0xb6 등이다. 1바이트는 256가지 종류의 수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자바 바이트 코드 명령어 opcode 역시 최대 256개라는 점을 알 수 있다.

JVM Instruction Set 에 명시된 invokevirtual 의 바이트 코드

main method 의 바이트 코드만 hex 로 보면 다음과 같다.

b2 00 07 12 0d b6

아직은 눈치채기 어려울 수도 있을 것 같다. 힌트를 주자면, 좀 전에 opcode 앞의 숫자는 JVM array 의 index 라고 했었다. 표현 방식을 살짝 바꿔보자.

arr = [b2, 00, 07, 12, 0d, b6]
  • arr[0] = b2 = getstatic
  • arr[3] = 12 = ldc
  • arr[5] = b6 = invokevirtual

index 가 어떤 의미였는지 조금은 명확하게 보인다. 인덱스를 건너뛰는 이유는 꽤나 단순한데, getstatic 은 2바이트의 피연산자가 필요하고 ldc 는 1바이트의 피연산자가 필요하다. 따라서 0번째에 있는 getstatic 다음 명령어인 ldc 는 1, 2 를 건너뛴 3번째에 기록된다. 같은 이유로 4를 건너뛰고 invokevirtual 이 5번째에 기록된다.

마지막으로 4번째 줄에 보면 (Ljava/lang/String;)V 라는 주석이 눈에 띈다. 이 주석을 통해 자바 바이트 코드에서 클래스는 L; void 는 V 로 표현되는걸 알 수 있다. 다른 타입들도 고유의 표현이 있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자바 바이트코드타입설명
Bbytesigned byte
CcharUnicode character
Ddoubledouble-precision floating-point value
Ffloatsingle-precision floating-point value
Iintinteger
Jlonglong integer
L<classname>;referencean instance of class <classname>
Sshortsigned short
Zbooleantrue or false
[referenceone array dimension

-verbose 옵션을 주면 constant pool 을 포함한 역어셈블 결과를 자세히 볼 수 있다. operand 와 constant pool 을 함께 살펴보는 것도 재밌을 것이다.

  Compiled from "VerboseLanguage.java"
public class VerboseLanguage
minor version: 0
major version: 65
flags: (0x0021) ACC_PUBLIC, ACC_SUPER
this_class: #21 // VerboseLanguage
super_class: #2 // java/lang/Object
interfaces: 0, fields: 0, methods: 2, attributes: 1
Constant pool:
#1 = Methodref #2.#3 // java/lang/Object."<init>":()V
#2 = Class #4 // java/lang/Object
#3 = NameAndType #5:#6 // "<init>":()V
#4 = Utf8 java/lang/Object
#5 = Utf8 <init>
#6 = Utf8 ()V
#7 = Fieldref #8.#9 // java/lang/System.out:Ljava/io/PrintStream;
#8 = Class #10 // java/lang/System
#9 = NameAndType #11:#12 // out:Ljava/io/PrintStream;
#10 = Utf8 java/lang/System
#11 = Utf8 out
#12 = Utf8 Ljava/io/PrintStream;
#13 = String #14 // Hello World
#14 = Utf8 Hello World
#15 = Methodref #16.#17 // java/io/PrintStream.println:(Ljava/lang/String;)V
#16 = Class #18 // java/io/PrintStream
#17 = NameAndType #19:#20 // println:(Ljava/lang/String;)V
#18 = Utf8 java/io/PrintStream
#19 = Utf8 println
#20 = Utf8 (Ljava/lang/String;)V
#21 = Class #22 // VerboseLanguage
#22 = Utf8 VerboseLanguage
#23 = Utf8 Code
#24 = Utf8 LineNumberTable
#25 = Utf8 main
#26 = Utf8 ([Ljava/lang/String;)V
#27 = Utf8 SourceFile
#28 = Utf8 VerboseLanguage.java
{
public VerboseLanguage();
descriptor: ()V
flags: (0x0001) ACC_PUBLIC
Code:
stack=1, locals=1, args_size=1
0: aload_0
1: invokespecial #1 // Method java/lang/Object."<init>":()V
4: return
LineNumberTable:
line 1: 0

public static void main(java.lang.String[]);
descriptor: ([Ljava/lang/String;)V
flags: (0x0009) ACC_PUBLIC, ACC_STATIC
Code:
stack=2, locals=1, args_size=1
0: getstatic #7 // Field java/lang/System.out:Ljava/io/PrintStream;
3: ldc #13 // String Hello World
5: invokevirtual #15 // Method java/io/PrintStream.println:(Ljava/lang/String;)V
8: return
LineNumberTable:
line 3: 0
line 4: 8
}
SourceFile: "VerboseLanguage.java"

Conclusion

전 챕터에서는 Hello World 를 출력하기 위해 왜 말많은 과정이 필요한지에 대해 살펴봤었다면, 이번 챕터에서는 Hello World 를 출력하기 전 어떤 과정이 진행되는지 컴파일과 역어셈블 과정을 통해 살펴봤다. 다음으로는 드디어 JVM과 함께 Hello World 출력 메서드의 실행 흐름을 살펴본다.

Reference